지지선과 저항선을 보는 방법 또는 그리는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해외선물에서 지지선과 저항선에 대해서 보는 방법과 그리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점은 고점대로, 저점은 저점끼리 일직선으로 그어서 주가의 파동을 알아볼 수 있는 선물 추세선이라 합니다.
이 추세선은 사오항에 따라 지지선 혹은 저항선이라 불리고 있습니다.

왼쪽 상단 이미지는 상승추세로 저점을 이어 선을 만들면 이는 지지선이라고 합니다. 그 이하로 가격이 떨어지지 않을꺼라 해석이 가능합니다.
오른쪽 상단 이미지는 하락추세에서 저항선입니다. 고점끼리 이어서 선을 만들었으며 가격이 저항선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을 것이라 해석이 가능합니다.
매매법
- 상승추세 저점에서 매수를 합니다.
- 하락추세 고점에서 매도를 합니다.

이러한 지지선과 저항선이 한결같이 유지되면 좋겠지만 상황에 따라서 지지선이 저항선으로 저항선이 지지선으로 변하게 되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지지선이 깨졌다 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으며, 그래서 차트를 다시 그려야 한다 ? 라고 말하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좌측 그림을 보게되면 7일까지 지지선 역할을 하며 상승하다가 지지선이 무너집니다. 하향돌파하여 다시 추세선을 그려야 합니다.
이 경우 지지선이 저항선으로 변경됩니다.
우측 그림을 보시면 6일까지 받으면서 하락하다가 주가가 저항선 위로 올라옵니다. 이 경우 저항선이 깨진 경우로 다시 반대 지지선을 그립니다.
종합적으로 이야기하면 지지선은 자신의 내림세를 제한하는 가격이지만, 저항선은 상승세를 제한하는 가격 수준이라 할 수 있습니다.
지지선과 저항선은 모든 형태에 거래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적인 지표입니다.
해외선물 거래는 다른 모든 기존에 있던 매트릭스를 포함하므로, 지지선 저항선 지표도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