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연일 각 나라마다 금리를 인상하느냐 마느냐에 대한 경제기사 뉴스가 매일 같이 나오고 있는데요.
경제학에서는 수많은 법칙이니 준칙이니 이런것들이 많습니다.
그 중 각 나라에서 통화정책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하고 있는 것들 중 하나가 바로 테일러준칙입니다.
테일러 준칙(Taylor's Rule)이란
중앙은행에서 금리를 결정할 때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에 맞춰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에 따라서, 중앙은행은 실제 경제성장률과 잠재 경제성장률의 차이인 국내총생산(GDP) 격차와 실제 물가 상승률과 목표 물가 상승률과의 차이인 인플레이션갭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금리를 조정합니다.
테일러준칙의 사전적의미는 잠재성장률과 인플레이션사이에 균형금리를 결정할 때를 말합니다.
테일러 준칙은 미국 경제학자 존 테일러 스탠퍼드 교수가 제시한 통화정책 운용준칙으로, 연방준비제도아사회(FRB) 등 세계 대부분 국가에서 통화정책의 기본 모델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테일러 준칙에서는 인플레이션, 산출량을 고려하여 명목이자율을 설정하며 인플레이션이 1% 포인트가 올랐을 때 명목이자율은 1% 포인트 이상으로 올려야 합니다.
테일러 준칙의 최초 공식에 따르면, 명목 이자율은 목표 인플레이션율에서의 실제 인플레이션 사이의 편차와 잠재 GDP에서 실제 GDP 사이의 편차에 따라 반응하여야 합니다.
테일러의 1993년 논문에서는 인플레이션 목표치보다 높고, 산출량이 자연율보다 높은 수준 일 때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줄이기 위해 고금리 정책(긴축적 통화정책)을 권장하고, 그 반대일 경우에는 저금리 정책(확장적 통화정책)을 권장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인플레이션과 산출 목표가 충돌하는데 이 상황에서 테일러 준칙은 인플레이션과 산출 사이에 가중치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테일러준칙
r = p + 0.5*y + 0.5(p-2) + 2
r : 적정금리
p : 인플레이션률
y : 인플레이션 갭 (실질 GDP-목표치*)
중앙은행의 양대책무중 하나가 바로 "물가안정"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금리는 인플레이션률에 맞춰서 결정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 테일러준칙이 물가상승률을 기준으로 기계적으로 움직이게 되는 시스템적이다보니 더욱 더 복잡해져가는 시장경제에서 엇박자가 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보면 시스템적 대응방식은 실물자산시장-주식시장-부동시장의 가격흐름에 원하지 않는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과거 2008년 미국의 비우량 주택담보부 모기지채권사태로 불거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회복을 위해 저금리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다 이것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미미하게 보이자 교과서에도 없는 양적완화라는 극약처방을 들고 나온 적이 있습니다.
이렇게 조폐창에서 발행된 돈은 채권과 주식 그리고 부동산시장으로 유입되면서 실물자산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지금 주식과 부동산 가격만 놓고 볼 경우 금융위기 이전보다 시장가격이 훨씬 더 확대되어 있다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도 현실적으로 기준금리인상과 긴축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죠.
한국금융연구원은 "한은이 테일러준칙에서 제시하는 것처럼 금리 정책을 물가와 성장에 동일한 가중치를 두고 운용한다고 가정하고 준칙 금리를 추정하면 현재 기준금리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고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이어 "한은이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에 같은 가중치를 두고 금리 정책을 운용한다고 가정하고 준칙금리를 추정해도 현재 기준금리는 준칙금리보다 매우 낮다"고 덧붙혔습니다.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리 트레이드란 무엇일까요 (0) | 2023.06.28 |
---|---|
하얀코끼리의 의미 알아보기 (0) | 2023.06.27 |
[경제용어] 테킬라효과, 데킬라효과 (0) | 2023.06.23 |
하이먼 민스키 모델 민스키 이론, 민스키 모멘트 (0) | 2023.06.22 |
피크아웃 뜻 개념 알아보기 (락바텀, 바텀아웃) (0)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