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지표 47

CCI(상품채널지수)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CCI에 대해서 알아볼텐데요. CCI란 (Commodity Channel Index)는 투자 수단이 과매수 또는 과매도 상태에 도달하는 시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모멘텀 기반 오실레이터입니다. 1980년 도널드 램버트(Donald Lambert)가 상품가격의 계절성이나 주기성을 알아보기 위해 개발한 이 기술지표는 가격 추세 방향과 강도를 평가해 거래자가 거래를 시작할지 또는 종료할지, 거래를 자제할지 또는 기존포지션에 추가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표는 특정 방식으로 작동을 할 때 거래 신호 포착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상품채널지수(CCI)는 무엇을 알려주나요? ​ CCI는 주로 새로운 추세를 파악하고, 과매수 또는 과매도 수준을 관찰하고, 지표가 가격에 따라 ..

기술적지표 2023.11.27

모멘텀전략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모멘텀전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모멘텀 전략이란? 자산의 과거 성과가 앞으로도 일정 기간 동안 지속된다는 가정에 기반한 전략 입니다. 즉, 성과가 좋았던 자산은 한동안 좋은 성과가 유지될 것이고, 성과가 안 좋았다면 앞으로도 나쁠 것이라는 뜻입니다. 지난 12개월 동안의 주가 수익률이 가장 좋았던 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대표적인 모멘텀 투자 전략입니다. ​ 모멘텀 전략의 역사 ​ 아이디어의 시작 모멘텀 아이디어의 시작은 뉴튼의 운동 제 1법칙인 관성의 법칙에서 시작합니다. 관성의 법칙이란 모든 운동체는 현재 향하는 방향으로 운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힘이 있다는 것입니다. 모멘텀은 관성이 존재한다 라는 말과 같은 뜻입니다. 모멘텀에 대한 언급은 1838년 David R..

기술적지표 2023.11.24

이브앤아담 차트 패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아담과 이브에 대한 사진입니다. 차트중에 여러가지 차트가 있지만 오늘은 아담패턴과 이브패턴의 차트를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먼저 아담 패턴(Adam Pattarn)이란 기술적 분석에서 주가가 바닥에서 반등할 때 급격하면서 짧은 돌출(Spike)과 함께 V자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 이브 패턴(eve Pattarn) 은 가격이 바닥에서 반등할 때 기간 조정을 거치면서 폭이 넓은 운형, U자형으로 반등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이브 패턴 혹은 아담 패턴 형태 단독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이중(Double bottom) 패턴이라 불리는 더블탑을 형성 할 때는 아담 패턴과 이브 패턴이 혼합되어 나오는 (아담패턴 + 이브 패턴) 경우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보다 더 흔한 형태는 이브..

기술적지표 2023.11.23

일목균형표 개념(전환선, 기준선, 후행스팬, 선행스팬)

안녕하세요 오늘은 일목균형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일목균형표(一目均衡表)란 ​ 일목균형표는 너무나도 많이 쓰이고 유용하게 쓰이는 보조지표중 한가지입니다. 일반적으로 힘의 균형을 파악하는데 요긴하게 쓰이고 있으며, 큰 흐름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더 확률적으로 높이 보고 있습니다. ​ ​ 일목균형표는 일본에서 개발된 지표로 주가의 움직임을 5개로 의미 있는 선을 이용해 주가를 예측하는 기법으로 시간 개념이 포함된 지표를 말합니다. 일목산인(이치모쿠 산징)이라는 필명을 가진 일본의 주가차트 전문가 호소다 고이치씨가 독자 개발한 일목균형표는 서양의 엘리어트 파동 등이 과거의 가격과 트렌드를 중시하는데 비해 일목균형표는 시간을 주체로 하고 가격은 2차적인 개념에 불과하다는 데 기초를 둔 분석모형입니다. ​ ..

기술적지표 2023.11.22

피보나치(Fibonacci) 되돌림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피보나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피보나치(Fibonacci)란? 피보나치는 약 800년 전의 이탈리아 수학자로 이름은 레오나르도입니다.(Leonardo Fibonacci). 피보나치는 이탈리아의 수학자로 중세유럽에 아리비아 숫자체계를 소개했으며, 고대 피라미드를 연구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피보나치 수열이라고 부르는 숫자들의 배열을 발견하였다고 합니다. ​ 피보나치 수열의 원리 피보나치 수열은 1, 1, 2, 3, 5, 8, 13, 21, 34, 89, 144, 233, 377, 610, 987 …로 끝없이 쭉 이어지는데 앞의 두 수를 더해 다음 수를 만들게 됩니다. 또한 앞 수를 뒤 수로 나누면 점점 0.618에 근접하게 되는데, 바로 뒤의 숫자는 앞의 숫자의 약 1.618배가 되..

기술적지표 2023.11.21

RSI, 상대강도지수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가 보조지표 중 알아야 할 것으로 상대강도지수라고 말하는 RSI를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전트레이딩에는 크게 상관이 없다고 하지만 실제로 알고 있는것과 모르고 있는 것은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 상대강도지수 RSI(Relative Strength Index)​ 란 무엇인가? RSI는 가격의 상승압력과 하락압견 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1978년 미국의 윌레스 와일더(J.Welles Wilder Jr.)가 개발했습니다. 이는 RSI는 주식과 선물·옵션 등의 미래 가격을 예측하기 위한 기술적분석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일정 기간 동안 주가가 전일 가격에 비해 상승한 변화량과 하락한 변화량의 평균값을 구해 상승한 변화량이 크면 과매수 상태로, 하락한 변화량이 크면 과..

기술적지표 2023.11.20

볼린저밴드 (Bollinger Band)

안녕하세요​ 오늘은 해외선물 보조지표중 하나인 볼린저밴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 말하는 볼밴은 볼린저밴드를 말하는 것이며, 이 볼린저밴드는 존 볼린저(John Bollinger)가 자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것으로, 주가는 상승과 추세를 반복하지만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정한 밴드 범위 안에서 움직인다는 바탕으로 만든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3개의 선으로 볼린저밴드를 표현하는데 중심선(20일 이동평균선)과 상한선 그리고 하한선으로 나뉘어지고 있습니다. 이론을 살펴보면 주가가 큰 추세를 가지지 않는 회옵장에서는 상한선과 하한선의 폭이 작아져서 전체 밴드의 폭이 작아지게 됩니다. 반대로 상승추세나 하락추세를 가지게 되면 상한선과 하한선의 폭이 커져서 전체 밴드의 폭이 커지게 됩니다. ​ 이와..

기술적지표 2023.11.17

이동평균수렴·확산지수. MACD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동평균선의 수렴, 확산을 나타내는 지수인 MACD 보조지표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MACD란 우선 MACD의 약자인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의 약자로 우리말로 풀이하면 이동평균선수렴, 확잔 지수의 약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1970년대 제럴드 아펠(Gerald Appel)이 창안해낸 주가의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지표이며 주가 추세의 강도, 방향 모멘텀 및 지속 시간의 변화를 나타내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MACD는 트레이딩 분야에서 인기가 많은 지표들 중 하나입니다. MACD는 MA : MovingAverage(이동평균) CD : Convergence(확산)&Divergence(수렴) 으로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발산에 대한..

기술적지표 2023.11.16

다우 이론(Dow Theory)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다우 이론(Dow Theory)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다우이론은 찰스 다우(Charles Henry Dow)라는 미국 언론인이 만든 이론입니다. 찰스 다우의 약력을 대략 알려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 Dow Jones & Company, Inc. (다우존스 앤 컴퍼니) 설립 - 경제 전문지인 월스트리트 저널(The Wallstreet Journal, WSJ) 창간 - 다우존스 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 DJIA) 개발 ​ 찰스 다우가 생전 자신의 아이디어를 특정 이론으로 만든 것은 아니고, 사후 다른 편집자들이 찰스 다우가 월스트리트 저널 사설란에 기고한 사설들과 아이디어를 종합해 다우 이론을 만든 것입니다. ​ 다우 이론은 주가의 움직임..

기술적지표 2023.11.15

하모닉패턴(Harmonice Pattern)

안녕하세요 ​오늘은 하모닉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해당패턴은 H,M. Gartley(가틀리)에 의해서 1932년에 만들어졌습니다. 가틀리는 그의 책에 '가틀리 패턴'으로 알려진 5- 포인트 패턴에 대해서 소개해왔습니다. ​ Larry Pesavento가 피보나치 비율을 더하여 이를 개선했으며, Scott Carnet가 가틀리 패턴 외에 Crab, Bat, Shark, 5-0 등의 패턴을 발명하였습니다. 하모닉 패턴의 전반적인 시장과 모든 시간대의 차트에서 잘 들어맞는 편이기도 합니다. 하모닉 패턴의 주요 골자는 스윙 하이, 스윙 로우와 PRZ(Potential Reversal Zone)를 특정하여 그 이후의 가격 변동을 예상하는 것입니다. ​ 간단히 말해서 하모닉 패턴은 피보나치수열을 ..

기술적지표 2023.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