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지표 47

이동평균선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술적지표 이동평균선에 대해 이야기를 해드리고자합니다. ​먼저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혹은 이평선이라고 말하는 이 지표는 기술적분석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지표이며 또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이동평균선에 대해서만 명확하게 이해한다면 여러분들은 투자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 기술적 지표를 믿고 투자를 하는 사람이라면 항상 이를 차트와 함께 켜놓고 참고합니다. 물론 저또한 그렇습니다. ​ 그렇다면 이동평균선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 이동평균선의 계산법과 숨은 의미 과거의 특정적인 시간안에 시장가격 평균을 이동평균이라하고 이를 모든 시간에 대해 연결하는 것을 이동평균선이라 합니다. 사실 수학이나 해석적 논리에 친근하지 않은 사람에게 이렇게만 말하면..

기술적지표 2023.12.11

엘리어트 파동이론

안녕하세요 주식과 관련된 이론들은 굉장히 많습니다. 그중 대중들에게 잘 알려진 이론을 하나 꼽자면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들 수 있겠습니다. 엘리어트파동이론은 사실 많은 대중들에게 잘 알려져 있긴 하지만, 내용이 너무 복잡하고 사용자의 자의적인 해석이 많이 개입되어 부정확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시장에서의 활용성은 인지도에 비해서 상당히 낮은 편에 속합니다. 저 역시 이 이론을 완벽하게 알고 있진 못합니다. 그럼에도 제가 엘리어트파동이론에 대해서 글을 쓰는 이유는 이 이론의 접근 방식이 매우 독특해서 이러한 접근 방식을 조금은 배워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 보통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될수록 대상을 바라보는 시선은 정확해지지만 창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지 못하는 경우들이 많습..

기술적지표 2023.12.08

하이먼 민스키 패턴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하이먼 민스키 모델(Hyman Minsky Model)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하이먼 민스키 모델(Hyman Minsky Model)은 미국의 경제학자 하이먼 민스키가 제시한 모델입니다. 민스키 모델(Minsky Model), 민스키 모멘트(Minsky Moment)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과도한 부채의 확대에 기대어 경기 호황이 이루어지다가, 이 시기가 끝난 뒤에는 은행을 빚을 가진 채무자의 부채 상환 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결국은 채무자가 건전한 자산까지 팔아서 빚을 갚게 되면서 금융 시스템이 붕괴되고 금융위기를 초래하는 시점이 오는데, 민스키 모멘트란 이 시점을 의미합니다. ​ 즉, 금융위기의 시발점을 뜻하죠. 금융시장이 호황일 때, 투자자들은 호황이 계..

기술적지표 2023.12.07

삼각수렴 패턴

안녕하세요 오늘은 삼각수렴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각수렴 차트 패턴은 한 점으로 수렴하는 두 개의 트랜드라인으로 형성되고상승 삼각수렴, 하락 삼각수렴, 그리고 대칭 삼각수렴으로구분이 되고 있습니다. ​ 삼각수렴이 되는 점 혹은 수렴 직전 큰 상승 혹은 큰 하락의 변동이 일어난다는 논리입니다. 삼각형은 지지선 및 저항선에서 최소 2번 이상 바운스가 있어야 합니다. 바운스가 많을수록 더 높은 신뢰성을 보여주는 차트라보 볼 수 있겠습니다. 이때 삼각형이 점점 더 수렴될 수 록 거래량이 줄어들면 변동폭이 더 크다고 해석합니다. 공격적인 트레이더는 삼각수렴 형성의 마무리를 조금 앞당겨 이익실현 혹은 손절을 진행하지만 보수적인 트레이더는 완벽한 추세 이탈을 확인하고 매도를 진행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기술적지표 2023.12.06

투자심리선(Psychological Line) 배워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투자심리선(Psychological Lin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투자심리선(Psychological Line)은 무엇일까요? 주가는 상승과 하락을 반복합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등락을 통해 심리가 발생하게 되죠.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면 어느정도의 조정이 나올것을 예상하고 있거나 지속적인 하락이 발생할 경우 반등이 반드시 나올 것이라고 예상하며 거래에 임하게 됩니다. 이러한 투자자들의 심리를 이용하여 나온 보조지표가 투자심리선(시장강도)이라 합니다. 일정기간동안 주가가 상승한 것의 비율을 이용하여 과열인지 또는 침체인지 확인하여 매매에 참고하여 매매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투자심리선(Psychological Line) 계산방법 ​ 투자심리선(Psychological Lin..

기술적지표 2023.12.05

VR 거래량비율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볼 지표는 VR 거래량비율입니다. VR은 볼륨레이쇼(Volume ratio)의 줄임말입니다. 거래량의 뜻을 가진 Volume, 비율의 뜻을 가진 Ratio를 합친 말이기도 합니다. 결국 Volume ratio는 거래량 비율을 의미하게 되는 셈인거죠. ​ VR은 절대적인 수치를 나타내기 보다는 거래량의 움직임을 비율화시켜 과거와의 비교 가능성을 높인 지표입니다. 볼륨레이쇼는 일정 기간에 주가가 상승한 날의 거래량과 주가가 하락한 날의 거래량은 백분율을 지표로 나타낸 것이다. ​ Volume ratio = (상승일의 거래량합계 + 변동 없는 날의 거래량절반) / (하락일의 거래량합계+변동 없는 날의 거래량절반) } x 100 한 달의 거래일 중 주가가 상승한 날의 거래량 합계를 주가가 하..

기술적지표 2023.12.04

ADR(Advance Decline Ratio), 등락비율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ADR, 등락비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등락비율(ADR, Advance Decline Ratio)이란 특정기간 동안 상승종목 누계를 하락종목 누계로 나눈 백분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종합주가지수는 가격의 변동을 나타내고 등락주선의 변동은 등락종목수의 변동을 나타냅니다. 등락비율은 이 2가지를 대비함으로써 시세가 어느정도 강력한 것인가를 알고 하는 것입니다. 등락주선의 결점은 시세의 상승국면에서는 특히 투자대상이 집중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지수는 시가총액이 큰 종목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어서 왜곡되기가 쉽습니다. ​ 등락비율은 대표적인 기술적 분석 지표이며 증권시장 내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의 크기를 가늠하는 지표로 쓰이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주로 20거래일 동안..

기술적지표 2023.12.01

DMI (방향운동지수)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DMI(방향운동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DMI(Directional Movement Index) 보조지표란 ? ​ DMI (Directional Movement Index)는 1978년 웰레스 와일더(J. Welles Wilder)에 의해서 처음 소개된 것으로, 시장의 방향성과 추세의 강도를 수치로 나타낸 지표를 말합니다. ​ 보조지표 관련 포스팅에는 차트를 분석할 때 현재의 추세가 상승추세인지, 하락추세인지, 또는 횡보장인지를 구분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또한 상승추세 또는 하락추세일 경우에도 그 추세의 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한다면 매우 성공률이 높은 매매를 구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시장의 추세 및 그 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계량화한 것이 DMI입니..

기술적지표 2023.11.30

파라볼릭(Parabolic SAR)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라볼릭(Parabolic SAR)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라볼릭 지표란? 웰즈 와일더에 의해 개발된 지표로서 추세전환시점을 파악할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풀네임은 Parabolic Stop And Reverse이며, 기존의 추세가 끝나고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붉은 점선의 포물선(Parabolic) 형태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따라서 파라볼릭 지표상의 전환은 기존 추세의 가속력이 약해져 새로운 추세 전환이 임박했음을 뜻 합니다. ​ 파라볼릭 지표는 시장가격이 추세를 형성하고 움직일 때 추세 진행의 가속력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주가와 환율의 추세가 일단 형성될 경우 기존 흐름이 강하게 나타나지만, 추세가 전환할 때에는 흐름(가속력)이 약해..

기술적지표 2023.11.29

스토캐스틱(Stochastic)

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분들께 스토캐스틱에 대해서 소개해드릴까합니다. 스토캐스틱은 흔히 모멘텀지표라고 이야기합니다. 실제 사용해보면 추세지표로도 활용하면서 박스지표를 활용되기도 합니다. 실전 선물옵션 보조지표 매매시에 가장 참고하기 쉽고 잘맞는 지표중 몇안되는 보조지표들 중 하나라고 꼽을 수 있겟습니다. 스토캐스틱이란 1950년대 개발되어 알려진 지표로 William Dunnigun이 개발하고 George Lane이 널리 보급하였습니다. 과거 고승덕변호사가 증권사전문가로 활동할 당시 "마법의 지표"라고 표현을 내세울 정도로 신뢰성이 높은 지표이며 스토캐스틱과 함께 선물옵션 보조지표 시자의 상황을 본다면 대략적인 추세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 ​ 원리 ​ 스토캐스틱의 가장 기본적인 원리는 N일간의 주가의..

기술적지표 2023.11.28